스터디포스에서 발간한 [독해백서:'讀과 解에 관한 모든 것'] 연재 
세번째 챕터 '독해의 원리', 그 두번째 포스팅입니다.

[독해백서 목차]--------------------------------------

독해백서

Ⅲ. 독해 훈련

  1. 독해력 향상을 위한 독해습관 교정훈련
    [1] 시각과 두뇌의 협응력 향상훈련
    [2] 속발음 억제를 위한 의미단위 읽기 훈련
  2. 독해력 향상을 위한 인지기능 훈련
  3. 독해력 훈련의 필요성

-------------------------------------------------



1. 독해력 향상을 위한 독해습관 교정훈련


[2] 속발음 억제를 위한 의미단위 읽기 훈련

우리가 글을 읽는 방법에는 소리를 내어 읽는 방법과 눈으로 읽는 방법이 있다. 소리를 내어 읽게 되면 [글자]→[발음]→[의미] 순으로 이해가 이루어지게 된다. 글자로 된 책을 읽는데 익숙하지 않았을 때는 이렇게 소리를 내어 읽는 방법이 좋겠지만 일단 어느 정도 책을 읽는데 익숙해졌는데도 계속해서 소리를 내어 읽게 되면 발음속도 이상으로 독해속도를 높일 수 없다.

게다가 어렸을 때 소리를 내어 읽던 습관 때문에 우리는 눈으로 읽을 때도 [글자]→[발음]→[의미] 의 순서로 글을 이해하려고 한다. 물론 어릴 때처럼 소리를 내어 발음을 하지는 않지만 글자의 발음이 자동적으로 성대의 운동근육을 움직이게 하는데, 이때 일어나는 작용을 속발음이라고 한다.

속발음이 나타나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언어의 속성 때문이다. 우리의 두뇌는 글자를 시각적으로 처리하지 않는다. 그것을 청각적 정보로 바꾼 뒤에 두뇌에 저장된 의미와 연결시키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발음이 어려운 단어나 글자는 직접 소리 내거나 속발음을 하지 않으면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되는 것이다.

속발음을 하게 되면 소리를 내어 읽을 때와 마찬가지로 발음하는 속도 이상으로 독해속도를 높이기 어려워 글을 빨리 읽는 것을 방해한다. 인지심리학자인 Reed는 속발음을 제거하면 독서속도가 향상될 수 있는지를 알아보려고 여러 가지 실험을 한 결과 속발음이 독해속도에 커다란 장애요인이 되며, 속발음을 제거하면 독해속도는 자연스럽게 향상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

이렇듯, 속발음을 하면 글이 [글자]→[발음]→[의미]의 순서로 처리되기 때문에 독해속도가 느려진다. 독해속도를 높이는 가장 빠른 길은 [글자]→[의미]의 순서로 읽는 것이다. 사실 글의 이해는 뇌에서 일어나는 것이고 뇌의 이해 속도는 아주 빠르기 때문에 속발음을 하지 않아 [글자]→[의미]의 순서로 읽는다면 글을 읽는 속도가 빨라지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 일이다.

속발음이 독해속도의 향상에 방해가 된다는 생각은 일반적인 속독 프로그램에서도 오랫동안 인식되어 왔다. 그래서 아무런 의미가 없는 문자열을 눈으로만 읽도록 유도한다든지 심지어 입에다가 막대기를 물고 글을 읽도록 하는 좀 우아하지 않은 방법조차 사용되어 왔었다. 그런데 문제는 의식적으로 속발음을 하지 않으려고 하면 할수록 속발음이 더 심해지거나 스트레스를 많이 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게다가 더 큰 문제는 속발음이라는 것은 앞에서 이야기했듯이 성대의 운동신경에 신경신호가 전달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것이기 때문에 단기간에 쉽게 없어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글을 읽더라도 발음정보를 의식하게 되면 자동적으로 발성 준비상태가 되기 때문에 단순히 속발음을 없애겠다는 의지만으로는 부족하다.

그렇다면 어떻게 독해과정에서 속발음을 없앨 수 있을까?

그 전에 글을 청각적 정보로 바꾸는 것과 글을 소리 내어 읽는다는 것이 사실은 다른 과정임을 알아야 한다. 글을 청각적 정보로 바꾼다는 것은 실제로 발음을 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두뇌에서 사용하는 [소리코드]로 자동적으로 바뀐다는 의미이며, 마치 컴퓨터를 사용하여 문서를 작성하면 컴퓨터 내에서는 0이나 1의 이진법으로 바뀌어 처리되는 것과 같다.

가령, ‘아버지’라는 단어를 보았을 때 우리 두뇌는 그것을 [소리코드]로 바꾸며, [소리코드]는 그것의 의미를 장기기억에서 떠올리게 해줘 무슨 뜻인지 알게 된다. 이 [소리코드]는 의미 뿐만 아니라, ‘아버지’에 대해 가지고 있는 감정이나 ‘아버지’를 어떻게 발음해야 하는지에 대한 [발음정보]도 자동적으로 떠올리게 해준다. 그렇기 때문에 ‘아버지’라는 단어를 보았을 때 어떤 사람은 ‘아버지라는 단어의 의미가 머릿속에 떠올랐다‘라고 느끼고 어떤 사람은 ’아버지란 단어를 보면 마음이 따뜻해진다‘라고 느끼고, 어떤 사람은 ’아버지라는 단어가 머릿속에서 빠르게 발음되었다‘’라고 느끼게 되는 것이다.

우리가 발음을 한다는 것은 ‘아버지’란 단어의 [소리코드]가 떠올린 [발음정보]가 운동신경을 통해 우리 혀나 성대의 근육을 작동시키는 메커니즘에 전달되어 실행될 때 일어나는 일이다. 따라서 엄밀하게 따지면, [소리코드]가 떠올린 [발음정보]와 실제 [발음]과는 다른 것이다.

글을 읽는데 미숙한 학생들은 [발음정보]를 의식적으로 떠올리며 글을 읽는 경우가 많다. 이렇게 되면 실제 발음을 하지 않더라도 [발음정보]가 운동신경을 통해 혀나 성대에 전달되고 발성의 느낌을 피드백 받은 후에 그 의미를 파악하기 때문에 글을 읽는 속도도 느리고 이해의 정확성도 떨어지게 된다. 게다가 발음을 의식하지 않을 때보다 훨씬 많은 에너지가 소모되어 글을 이해하고 기억하기 위해 필요한 자원이 부족하게 된다.

글을 읽을 때 속발음을 하지 않는 상태(의식적으로 [발음정보]을 떠올리지 않는다는 것)는 그 글의 의미를 더 효율적으로 처리하고 있다는 증거이다.

누구나 글이 잘 이해되지 않거나 어려운 개념이 나왔을 때 발음이 더 머릿속에 잘 떠오르는 경험을 해봤을 것이다. 이런 경우 속발음은 의미처리가 끝나지 않은 상태에서 다음 글로 넘어가는 것을 막아주고, 작업기억이 그 의미를 잘 처리를 할 수 있도록 더 오랫동안 단기기억에 머물게 해준다. 그러나 이렇게 속발음을 하는 행동이 습관화되면 쉽게 읽을 수 있는 글도 속발음을 하면서 읽게 될 수 있다.

속발음을 없애기 위해서는 단순히 속발음을 하지 않으려 노력하는 것이 아니라, [발음정보]를 의식하지 않도록 읽기의 패턴을 바꾸는 것이 중요하다.

[발음정보]를 의식하지 않을 정도로 의미를 지각하는 범위를 넓히고 글을 빠르게 읽어 나가도록 하여 글의 내용에 몰입하도록 해야 속발음이 교정될 수 있다.

즉, 눈보다는 뇌로 읽는 것, 다시 말하면 의미단위로 글을 읽어야 한다.

한 번에 읽을 수 있는 의미단위의 크기가 넓어질수록 글자에 대한 속발음의 속도가 읽는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결국은 속발음은 저절로 사라지게 된다. 그러니까 속발음을 너무 의식하지 않고 의미단위 훈련에 집중하는 것이 속발음을 제거하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Posted by 스터디포스
: